역삼동 양추헌은 서울 강남의 평범한 주거지역에 위치해있다. 이 부지엘 가려고 대로변에서 골목길을 따고 들어가노라면 여기저기서의 상당한 자동차 위협을 실감한다. 자동차 위협에서 벗어나고자 신경을 쓰다 보면 길옆으로 무엇이 있는지 누가 옆으로 지나가는지 모른다.
느티나무가 있는 마을 어귀-집들 사이로 조용히 감아 도는 골목길-그 좌우로 휘어지는 담장 -걸으며 사색도 하고 이웃을 만나 이야기도 나누는 정감이 있는 마을. 우리 생활 속에 자리하던 그런 마을의 풍경들은 점점 사라지고 삭막함만이 도시를 감돈다.
우리에게서 점점 멀어져가는 우리의 골목길을 집안에서 살려 볼 수는 없을까?
여러 가구가 모여 사는 다가구주택이 한 지붕 속 마을로 만들어지기 위하여 건축적 장치들이 동원된다. 층별 세대를 연결하는 계단이나 복도는 단순한 통로 개념에서 벗어나 마을의 골목 역할을 하도록 배치되고 장치된다.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이 입체적 골목길에서 이웃을 만나기도, 다른 층에 있는 이웃과 손짓으로 인사도 한다. 이 골목길은 전 층에 시선이 닿을 수 있도록 계획되어지고 이 집의 중심 공간 역할을 담당한다. 좁은 면적의 공간이지만 이곳은 빛이 지하 1층까지 떨어진다. 각 세대로 드나드는 길로서의 계단, 중심 공간으로서의 계단은 모든 부분이 빛이 들어 항상 밝다. 복도 중간에 알코브(Alcove)도 있고 원기둥도 나란히 세워져 바깥세상과 시각적 교류도 갖게 하고 시각적 즐거움도 제공한다. 이 공간은 각박한 현대도시생활 속에 삶의 여유를 주고 정신적 풍요로움을 제공한다.
반 지하층 하면 시커멓고 바람도 들지 않고 프라이버시도 보장이 안 되는 삶의 사각지대라 생각되지만 이곳에서는 지하부분 요소요소에 마당과 광정이 계획되어 개인권 보장은 물론 빛도 바람도 충분하다. 그래서 이곳의 이름을 양추헌(陽湫軒)이라 이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