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그룹칸 / 칸종합건축사사무소㈜ :: '허(虛)'/감각의 본질/제2회 국제건축가드로잉전출품작
 |
건축그룹칸 / 칸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가 방철린스튜디오, Architect Group CAAN/Chulrin Bang studio  
CAAN | CAAN News | Profile | Articles | Works/Projects | Free Board | Tags | Localog | Zeroboard style  
2013/03/02 12:11 2013/03/02 12:11
'허(虛)'/감각의 본질/제2회 국제건축가드로잉전출품작
Drawings&Photos/Drawings | 2013/03/02 12:11 | | | Buzz This! | me2DAY  
방철린출품작......허(虛)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철린작...허(虛)-1 /HUH-1 760X760 켄트지에 연필 2013작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철린작....허(虛)-2 /HUH-2 760X760 켄트지에 연필 2013작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방철린작....허(虛)-3 /HUH-3 760X760 켄트지에 연필 2013작


허(虛)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는
‘도(道)’를 모든 사물이나 행
태의 근본으로 보고 이를 강조한다.
제25장에서 ‘도’를 이 세상에 존재하는 그 어떤 것보다
상위의개념이라고 보는 데
이 ‘도’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상태에서
온다고 이야기한다.
무위자연의 상태는
곧 ‘허(虛)’의 상태를 이야기한다.
제16장에서는 이세상의 만물은 비워내고 비워내면
궁극에는 뿌리의 상태로 돌아간다고 이야기한다.
이 비워낸 상태가 ‘허’(虛)다.
우리가 사는 세상-자연, 도시, 건축 모든 것에 허(虛)가 존재한다.
허(虛)가 존중되고 유지되어야
사람은 비로소 몸과 마음의
건강을 유지하며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다.

'Huh(虛)'.

The Tao te ching (道德經) of Lao-tzu(老子), emphasize the ‘dào(道)’
as the basis of all matters and behaviors.
The 25th chapter says the ‘dào(道)’ is the most superposed matter of the existing world
and it comes from the situation
of the ‘letting nature be(無爲自然)’.
Situation of the ‘letting nature be’ means Situation of the
‘Huh(虛)’.
The 16th chapter says all creation that be emptied and emptied
returns to the situation of root at last.
This empty situation is ‘Huh(虛)’.
In the nature, In the city and In the architecture that we live exist ‘Huh(虛)’.
‘Huh(虛)’ being respected and maintained, man live like a
human being with the healthy body and soul at last.


전시서문


감각의 본질

제2회 국제 건축가 드로잉전의 주제는
 Essence(본질) 와 Sense(감각)을 합성한 “ESsense”와 “감각의 본질”로 기존의 구상과
코드화 되어있는 현상으로서의 예술로 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작한 것이다.
인간에게는 5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이 있다.
이러한 감각은 신체의 적합자극에 의해 흥분하고 작동한다.
 다시 말해 인간의 자극 인지는 이 오감에 의해서만 일어난다.
기존의 예술이 재현의 논리에 주로 의미를 두었다면,
이번 전시는 감각의 본질을 통한 재현, 즉 비가시적 힘과 생성을 표현
하는 “감각형상”을 표출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질 들레즈의 회화론에서도 감각형상에 대하여
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감각 자체를 그리는 것” 또는 “그림의
대상으로서의 감각”으로 설명한 바 있다.
이는 추상도 구상도 아닌 새로운 표현형식으로
리오타르의 figural(형상성)를 통해 분명하게 표시하고 있다.
즉 신체에 의하여 조건 지워지고 또한 이러한 흥분과 히스테리의 힘에 의한 창조적 발작현상은
새로운 예술작품을 태동 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굳이 들레즈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지 않아도
우리에게 내재 되어있는 감각을 기본으로 비 재현적 형상개념의 작업들을
건축가들에 의하여 자유롭게 표현될 수 있도록 기획한 것이다.

참여작가
구영민, 김미상, 김인철, 문훈, 박준호,
방철린, 우경국, 임지택전인호, 정수진,
제갈엽, 최두남, 에릭리더, 산티아고 포라스

ESsense
The subject of 2nd international architect drawing exhibition is ‘ESsense’,
a mixed word using ‘essence’ and ‘sense’, to be against the art
as a phenomenon of existing design and encoding.
For a human being, there are five senses.
These areoperated by synaptic stimulate.
Unlike existing art focuses on the logic behind reproduction,
this exhibition tries to recreatethrough essence of sense,
expressing ‘sensation phenomenon’ for invisible power and creation.
Gilles Deleuze mentioned Francis Bacon’s work to explain the phenomenon,
which is ‘drawing sense itself’ or ‘sense
as an object of painting’.
It is a new expression, not abstraction or representation, according to Liotard’s figural.
Again,
condition is deleted by a body, and creative motivation by stimulate and hysteria produces a new art work.
Based on inner senses in a body,
artworks in non re-creational configuration concept are expressed by architects in this exhibition.


Participating Architects
Koo, Young Min/Kim, Mi Sang/ Kim, In Cheurl/Moon, Hoon/ Park, Jun Ho/
Bang, Chul Rin/Woo, Kyung Kook/Lim, Ji Taek/Jun, In Ho/Jung, Su Jin/
Jeagal, Youp/Choi, Du Nam/Eric Reeder/Santiago Porras Alvarez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Tags: , , Keyword 방철린, , , ,
Track this back: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Prev.  |  1  |   ... 217  |  218  |  219  |  220  |  221  |  222  |  223  |  224  |  225  |   ... 553  |   Next  ]
건축그룹칸 / 칸종합건축사사무소㈜ LOGO
 Administrator Login
 CAAN News
 Category
전체 (553)
About CAAN (3)
Profile (2)
Video (11)
Works/Projects (64)
Drawings&Photos (305)
Education (48)
Tour of Inspection (11)
Articles in media (54)
Exhibition (10)
Chronology (1)
Trophies/Certific... (2)
Reference (1)
Old news (39)
 Recent Images
공중도시 마추픽추(MACHUPICCHU)
제주스테이 비우다 / Jeju Stay BIUDA
청평사/淸平寺  풍경
운길산(雲吉山) 수종사(水鐘寺)
초심교회
북촌 지붕들
소쇄원
실미도앞바다 / Front sea of  the  Silmi-do island
퀠른에서 만난 이은영교수와 함께
하늘마당2
계절인사/Season's Greeting
독락당 계정(獨樂堂 谿亭)
연하당/煙霞堂
한강설경 / 漢江雪景
숲속의 안개
미제루를 위한 드로우잉
 Tags
 Recent Articles
 Calendar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Links
 Visitor Statistics
Today 972 | Yesterday 1,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