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무척 더웠던 날 종로3가 부근에서 볼일을 끝내고 혼자서 종묘 순라길을 비롯한 돈화문 부근 골목길들을 종로에 이르기까지 돌아 보았다.
젊었을 적 원서동 공간시절 주로 활동무대가 이 지역이었기도 하였거니와 대학교 강의시 학생들과 설계과제로 돈화문과 종묘를 중심으로 하는 이 지역은 삼청동, 서촌지역 등과 함께 재정비를 위한 프로젝을 수행하면서 골목 골목을 많이 다녀보던 지역이라 이후로도 골목길에 다니며 변화상황을 보는게 습관이 되었다. 예전에 비해 국민소득도 많아졌지만 문화수준을 갖춘 역사 도시로서의 현대화의 변천 모습이 궁금해서다.
오랜 세월동안 늘 그래왔듯 현대화에 따른 이 지역 도심의 도시구조 변화와 인문적 변화는 여전히 미미함을 읽을 수 있었다. 돈화문 앞쪽 진입로 양측에 들어선 두 개의 전통양식의 문화시설 외에 동네의 변화는 몇몇 대지를 제외하고는 예전의 상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제일 아쉽게 느껴지는 것은 돈화문 진입로 양측 건축물의 돈화문과의 부조화이다. 돈화문이 지어졌을 당시였다면 돈화문이 크기로 보나 중요도로 보나 진입로 양쪽의 집들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중심성을 가지고 있었겠지만 근대화이후로 진입로 양옆의 건축물들이 들어서면서 돈화문의 존재성은 차츰 감소 상태가 이어졌고 그 상태로 백여년이 흘렀건만 이 부분은 누구도 손을 대지 않고 세월이 흘어왔다.
돈화문이 창덕궁 주출입문으로서의 중요성이 인정되고 존재성이 좀더 필요하다면 주변 건축물들의 색체나 형태는 돈화문에 시각적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조절 되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돈화문 따로 가로 건축물 따로가 아닌 조화스런 모습이 강조되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다.
이는 지구단위계획으로 충분히 조정 가능하리라 본다. 돈화문의 중심성도 높이고 가로 건축물로서의 존재성을 살릴 수 있는 방법이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
더불어 이지역의 골목 안팎의 건축물에 있어서도 같은 맥락의 이야기가 적용될 형태나 이에 사용하는 재료와 색체 그리고 지붕의 기와 등에 대해서도 세심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비원과 종묘의 연결로 인해 새로 만들어진 터널의 입구도 이야기를 하고싶다. 돈화문과 창덕궁 종묘 등의 도시 조직과의 공존하는 터널 입구의 세심한 모습이 아쉽다.. 입구의 형태는 물론이고 돌의 쌓기 방법조차 몹시 난해하다.
그 외에도 당연히 시행하고 있겠지만 간판 가로등 사인보드 등 스트리트 퍼니쳐의 다자인이 개성있는 서울만의 디자인 그리고 종로지역 만의 독특한 디자인인지 한번은 짚고 넘어 갔으면 하는 생각이다. 소소해 보이지만 이러한 요소들이 도시의 격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